스토킹범죄 고소, 거절했는데도 연락 지속 자살소동 협박 본인 A , 상대방 남자 B2024년 11월 부터 남자친구가 있다고
본인 A , 상대방 남자 B2024년 11월 부터 남자친구가 있다고 거절했는데도 B가 지속적으로 집에 찾아오고 연락을 이어나감연락을 차단하면 발신자표시전화로 전화를 걸거나 그 사람들 친구를 통해 문자를 걸었음 연락이 안되는 날에는 아침에 출근전 에도 집에 찾아옴불쑥 찾아와서 100km되는 거리를 본인과 동생을 태워주겠다고 마지막으로 하고 연락 안주겠다고 약속A가 집에 없는데도 차 손좀 봐주겠다고 집에 불쑥 찾아와서 차에 컴파운드 바르고 원격제어로 차 문 열어달라해서 거기에 자기 물건 놓고가기 등남자친구에게 말안할태니 마지막으로 @@하자 라고 지속적으로 협박툭하면 B가 자기 뛰어내릴거라고 협박남자친구랑 만나면서 B, 자신이랑 2개월 만나보는거 어떠냐고 제안남자친구에게 문자로 A를 죽여버리겠다 작살을 내버리겠다 끝장내버리겠다고 협박했습니다자세한 사항은 고소장 작성하면서 말할 수 있습니다증거자료로는 여태까지 나눴던 카카오톡 대화내용들 (24년~ 25년 6월)발신자표시제한으로 왔던 전화목록들어제 둘이 대화4시간정도 하면서 녹음했던 범죄인정사실 내용들차단했을 때 B의 지인들이 보냈던 연락들 캡쳐본B가 A의 지인들에게 보냈던 문자와 카톡 캡쳐본블랙박스 및 CCTV 협조가능어떻게 처벌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로톡-네이버 지식iN 상담변호사 남언호 입니다.
거절의사를 표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으로 집에 찾아오거나 연락한 정황들을 모두 자료로 확보해두시길 바랍니다.
이후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작성하여 제출 후 임시조치명령 등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스토킹범죄는 지속적으로 찾아오거나 정보통신망을 통해 연락을 시도하는 경우 성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스토킹 정황들을 모두 자료로 확보하시고 주변인들에게 사실확인서 등 진술서를 받아두시길 바랍니다.
이후 수사기관에 고소장을 제출하시면 됩니다. 일목요연하게 사건 피해상황을 적고, 만약 사건 접수 이후에도 상대방이 지속적으로 찾아온다면 임시조치명령 등을 경찰에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번호로 대략적으로 문의주신다면, 현재 사건에 대한 대응방향을 자세히 안내드릴 수 있습니다.
✔️ SBS 그것이 알고싶다, MBC 실화탐사대 등 매스컴 보도 사건 다수 조력
✔️ 로톡 의뢰인 상담 사례 3,000건 이상, 변호사 직접 답변(공장식 답변X, 직원 대리 답변X)
✔️ 무리한 선임 요구 및 근거 없는 답변 X / 광고성 , 홍보성 답변 X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