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 진학 후 진로 생명공학과 진학후 캐나다에서 석•박 학위 따고 연구소에 취직하고 싶은데 그럴려면
생명공학 진학 후 진로 생명공학과 진학후 캐나다에서 석•박 학위 따고 연구소에 취직하고 싶은데 그럴려면
생명공학과 진학후 캐나다에서 석•박 학위 따고 연구소에 취직하고 싶은데 그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해외 대학원 진학 방법과 필요 금액, 영주권 따는 법과 그 외에 필요한 것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이엘츠는 몇 등급 정도 되어야 하는지도요!
캐나다에서 생명공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연구소에 취직하는 과정을 정리해봤습니다.
국내 대학에서 생명공학 관련 학부 전공을 이수하거나, 관련 연구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부 GPA는 최소 3.5/4.0 이상을 목표로 하세요.
대부분의 캐나다 대학원은 IELTS 6.5~7.5 이상의 점수를 요구합니다. 특히 연구소 및 석·박사 과정에서는 IELTS Academic 7.0 이상이 유리합니다.
TOEFL iBT도 선택지이지만, 캐나다에서는 IELTS 선호도가 높습니다.
연구 관심 분야 및 교수진 탐색: 캐나다의 유명 대학(UBC, 토론토대, 맥길대 등)에서 원하는 연구실을 찾고, 교수에게 이메일로 연구 참여 의사를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GRE 시험은 대부분의 캐나다 대학에서 필수가 아니지만, 추가 제출 시 경쟁력이 올라갑니다.
추천서 2~3부, 연구계획서 (Statement of Purpose), CV 및 학부 성적표 제출 필요.
학비: 석사 과정은 연간 약 2만3,000만 원), 박사 과정은 연간 약 2만~4만 CAD.
생활비: 연간 약 1,500만~2,000만 원.
장학금 및 연구 조교(RA)나 강의 조교(TA)로 등록하면 학비 및 생활비 일부 지원 가능.
졸업 후 "Post-Graduation Work Permit (PGWP)"으로 최대 3년간 캐나다에서 취업 가능.
영주권(Express Entry 또는 Provincial Nominee Program) 신청: 연구 및 취업 경력이 있으면 점수 상승.
네트워킹 및 학회 참여: 교수 및 연구자들과의 인맥 구축.
1. 영어 공부 및 IELTS 7.0 이상 취득.
3. 원하는 캐나다 대학원 및 연구실 탐색 및 지원.